본문
조선말기에 제작된 이층농입니다. 황실이나 상류층에서 향유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급 목기입니다. 상·하단으로 분리되어 공간 활용에 효율적이며, 운반에도 용이합니다. 편리뿐만 아니라 수준 높은 미감까지 겸비한 유물입니다.
짙은 흑칠 바탕 위에 여의주를 사이에 둔 사조룡들이 시문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상의 의미는 권위와 길상을 나타냅니다. 바탕에는 구름 문양과 다양한 길상 문양들이 빽빽하게 채워져 화려함을 더합니다. 자개와 바다거북의 껍질인 대모(玳瑁)를 활용하였으며, 당시 대모는 귀한 재료로 여겨져 상류층만이 향유한 유물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짝 중앙에는 나비형 장석이 부착되어 있으며, ‘만(卍)’ 자 문양이 투각되어 있습니다.
━━━━━
此为朝鲜末期制成的二层柜,推测为皇室或上级阶层所使用的高档家具。上下柜体可分离,便于空间灵活运用与搬运,兼具实用性与高雅审美,是一件兼顾功能与美感的精致木器。
柜面以深色漆为底,装饰有围绕如意珠飞腾的四爪龙,象征权威与吉祥。背景则密布云纹与多种吉祥图案,图案繁复华丽。装饰材料采用螺钿与玳瑁,玳瑁在当时属稀有贵重材料,仅上级阶层才能享用,进一步显示此柜的尊贵属性。柜门中央镶嵌蝴蝶形铜饰,且镂空雕有“卍”字纹样。
━━━━━
This is a two-tier cabinet made in the late Joseon period, presumed to have been enjoyed by the royal court or the upper class. It is a luxury wooden piece that combines practicality and refined aesthetics. The cabinet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making it efficient for space use and easy to transport.
Against a dark lacquered background, dragons are depicted facing each other with a wish-fulfilling jewel, between them—a composition symbolizing authority and auspiciousness. The surface is densely filled with cloud patterns and other auspicious motifs, adding to the visual richness. Materials such as mother-of-pearl and tortoiseshell were used—tortoiseshell was considered a rare and precious material, indicating that this piece was exclusive to the elite class.
At the center of the cabinet doors is a butterfly-shaped metal fitting, with a swastika (卍) motif cut int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