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문 장경병 > 국제관

본문 바로가기

중국 전시관

중국 고미술 상설전 

본문

작품 정보

이 유물은 북송대(北宋代) 5대 명요 중 하나인 균요(鈞窯)에서 제작된 도자기입니다. 목이 길어 장경병이라 부르는 이 유물은 넓게 벌어진 구연부, 가늘고 긴 목이 특징입니다. 가느다란 긴 목과 대비되는 넓은 몸체와 낮은 굽은 형태에 안정감을 줍니다. 목에는 세 마디의 줄처럼 새겨진 현문(弦紋)이 표현되었습니다. 이 도자의 표면 전체에 입혀진 자색 유약은 흐름과 농담이 어우러져 아름다움을 자아냅니다. 시유(施釉)가 안된 굽바닥은 균요 도자의 전형적인 갈색 태토가 그대로 드러납니다. 유물에는 매장된 환경에 의한 흔적이 남아있어 부장품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균요는 유약 색상이 다양했던 요장(窯場)입니다. 가마 안에서 요변(窯變)한 붉은색, 자주색, 보라색, 청색 등 다양한 색조의 도자를 생산했습니다. 이러한 균요의 도자는 색을 내기가 어려워 황족이나 귀족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이 도자처럼 색상 농담이 자연스럽고 유려한 선(線)의 형태를 살린 유물은 소수만이 전해져 귀중합니다. 유약의 표면에 퍼져 있는 섬세한 개편(開片)은 가마 안의 온도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북송대 균요의 고풍스러움을 보여줍니다.

   



 

此文物是北宋时期五大名窑之一的钧窑所烧制的瓷器。因为颈部细长,所以被称为“长颈瓶”。其造型特点为口沿外撇、颈部细长,与宽大的腹部和低矮的圈足形成鲜明对比,整体造型稳定而优美。瓶颈上刻有三道如同弦线般的装饰纹,称为“弦纹”。通体施以紫色釉,釉面流动自然,浓淡相间,呈现出极具美感的色彩变化。瓶底未施釉,露出钧窑典型的棕色胎土。文物表面可见因被埋藏所留下的痕迹,推测应为随葬明器。


钧窑是以釉色多变著称的窑场。在窑炉中,由于高温下的窑变反应,烧制出红、紫、蓝、青等多种丰富色调的釉色瓷器。这类瓷器釉色难以控制,通常为皇家或贵族所用。特别是如本品这类色泽浓淡自然、造型线条流畅的器物,传世数量极少,弥足珍贵。釉面上布满细腻的开片,是窑炉内温度变化所致的自然现象,展现出北宋钧窑瓷器特有的古朴气息。

   




This artifact is a ceramic piece produced at the Jun ware kiln, one of the five great kilns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Known as a long-neck vase due to its elongated neck, the piece features a flared rim and a slender, extended neck. The wide body and low foot, in contrast to the thin neck, give the piece a sense of visual stability. The neck is adorned with a string pattern, composed of three engraved lines resembling string bands.


The entire surface is coated with a purplish glaze that flows naturally and varies in tone, creating a beautiful visual effect. The unglazed base of the foot reveals the typical brownish clay body of Jun ware ceramics. Traces left by burial conditions suggest that this artifact was likely a grave offering.


Jun ware is known for its diverse glaze colors. The kiln produced a wide range of hues—including red, purple, violet, and blue—that were the result of yaobian (窯變), or kiln transmutation, during firing. Due to the difficulty in achieving such colors, these ceramics were likely reserved for royalty or the aristocracy.


In particular, pieces like this vase, which display natural tonal variations and graceful linear forms, are extremely rare and highly valued. The fine crackle pattern visible on the glaze surface is a natural result of temperature changes in the kiln and exemplifies the antique beauty of Northern Song Jun ware.

CONDITION
NOTICE
상담/문의 : 02- 730-5601 / 02- 730-7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