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 국화문 과형 주자 > 한국관

본문 바로가기

한국 고미술 전시관

한국 고미술 상설전 
관심 작품
  • 32
  • 청자 상감 국화문 과형 주자
  • 고려시대 | 주자 23.2×3.8×9.3 cm, 승반 7.2×16.8×8 cm
  • 3,201

본문

작품 정보

주자는 참외를 닮은 과형(瓜形) 기형으로, 표면이 골을 따라 여덟 면으로 나누고, 상감과 음각 기법을 교차하여 국화문(菊花紋)과 초문(草紋)을 시문하였으며, 구연부와 하단부에는 연판문(蓮瓣紋)이 새겼습니다. 

 

승반 외면에는 주자와 동일하게 상감과 음각 기법으로 국화문과 초문을 시문하고, 내저면에는 음각으로 연잎문을 새겨넣었습니다. 

 

투명하고 두터운 유약이 전면에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굽 바닥에는 내화토 받침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국화문은 늦가을까지 피어나는 강인한 생명력 때문에 장수와 절개를 상징하며, 고려시대 상류층에서 널리 애호되었습니다.





执壶呈瓜形,外壁沿着纵向棱线分为八面,并交替运用象嵌与阴刻技法装饰菊花纹与草纹;口沿与下部则刻有莲瓣纹。


温碗外壁同样以象嵌与阴刻技法饰以菊花纹和草纹,盘心内底则阴刻莲叶纹。


器物表面均匀施釉,透明而厚实,圈足底部可见垫底支烧的痕迹。


菊花因能开至深秋而象征坚韧的生命力,寓意长寿与节操,在高丽时代深受上层阶层的喜爱。

 




The ewer is melon-shaped, its surface divided into eight lobes along vertical grooves. Using a combination of inlay and incision techniques, chrysanthemum and grass motifs were rendered, while lotus-petal designs were carved around the rim and base.


The accompanying stand is decorated in the same manner with chrysanthemum and grass motifs in inlay and incision. On the interior surface, a lotus-leaf design was incised.


A transparent, thick glaze is evenly applied over the entire surface, with traces of refractory clay supports remaining on the base.


Chrysanthemum motifs, admired for their vitality lasting until late autumn, symbolized longevity and integrity. Such designs were widely cherished by the Goryeo aristocracy.

CONDITION
NOTICE
상담/문의 : 02- 730-5601 / 02- 730-7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