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천사명 청동 대반 > 한국관

본문 바로가기

한국 고미술 전시관

한국 고미술 상설전 

본문

작품 정보

지름이 81.5cm 의 대형 청동 반입니다. 높이는 낮고 내저면은 넓습니다. 손잡이 부분에 '興天寺(흥천사)' 명이 점각되어 있어서, '흥천사'라는 사찰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흥천사는 조선 태조 5년(1396) 신덕왕후 강씨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정릉 동쪽에 지은 원찰입니다. 한글 창제의 산실이었던 흥천사는 연산군 10년(1504) 화재로 전소된 후, 정조 18년(1794) 현대의 서울 돈암동에 중창되었습니다





此为直径81.5厘米的大型青铜盘,盘身较矮,内底宽阔。把手部分刻有“兴天寺”字样,推测此钵曾用于名为“兴天寺”的寺庙中。


兴天寺是朝鲜太祖五年(1396年)为祈愿神德王后康氏往生极乐世界,在正陵东侧修建的愿刹。作为创制韩文的重要场所之一,兴天寺曾在燕山君十年(1504年)因火灾被焚毁,后于正祖十八年(1794年)在今首尔敦岩洞重建。





This is a large bronze basin with a diameter of 81.5 cm. It has a low height and a wide interior base. The inscription "Heungcheonsa" is engraved on the handle, indicating that it was likely used at the temple named Heungcheonsa.


Heungcheonsa was a royal Buddhist temple built in the 5th year of King Taejo of Joseon (1396) to pray for the rebirth of Queen Sindeok in the Pure Land. Originally constructed east of Jeongneung, Heungcheonsa was renowned as the birthplace of the Korean alphabet, Hangul. It was completely destroyed by fire in the 10th year of King Yeonsangun (1504) and later rebuilt in modern-day Donam-dong, Seoul, in the 18th year of King Jeongjo (1794).

CONDITION
NOTICE
상담/문의 : 02- 730-5601 / 02- 730-7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