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면에 분채(粉彩)로 책가도(冊架圖)를, 외면에 청화(靑畵)로 자연 풍경을 묘사한 청 건륭 시기 완(碗)입니다. 형태는 넓게 벌어진 구연, 완만한 곡선의 몸체, 짧고 안정적인 굽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내면에는 분채로 책가도 형식의 정물 문양이 시문되어 있습니다. 중앙에 서책과 화병, 책상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도자, 향로, 두루마리 등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는 문인적 상징 요소를 활용한 책가도 형식을 따르며, 백보도(百寶圖)적 요소를 일부 수용하여 풍요와 길상의 의미를 덧붙인 것으로도 해석됩니다.
외면에는 청화로 경물(景物)과 화훼문(花卉紋)이 개광(開光) 안에 묘사되어 있습니다. 산수와 정자, 화훼가 섬세하게 표현되어 이상화된 자연 풍경과 부귀길상(富貴吉祥)의 의미를 함께 담고 있습니다. 청화 안료의 맑고 깊은 발색과 정제된 필치는 건륭 시기 관요풍 도자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굽 바닥에는 ‘대청건륭년제(大清乾隆年製)’ 명문이 시문되어 있습니다. 이 명문은 건륭 시기 관요에서 흔히 사용된 표기 형식으로, 제작 시기를 가늠하게 해줍니다. 도상과 기법, 명문 등을 종합할 때 황실이나 상류층에서 사용한 유물로 추정됩니다.
━━━━━
瓷碗内壁以粉彩绘制书架图,外壁以青花描绘自然风景。口沿外撇,腹部线条柔和,短圈足,端庄稳重。
碗的内壁以粉彩绘制书架形式的静物纹样。画面中央陈列着书册、花瓶、书案等物件,周围点缀有瓷器、香炉、卷轴等。此布局遵循文人象征性的书架形式,同时吸收了“百宝图”的部分元素,寓意富足与吉祥。
碗的外壁以青花颜料在开光内描绘山水景物与花卉纹样。画中山水、亭台与花卉描绘精致,既呈现了理想化的自然风景,又蕴含富贵吉祥的寓意。青花发色清透深沉,笔触精炼细腻,充分体现了乾隆时期官窑瓷器的典型特征。
底足署“大清乾隆年制”款识,是乾隆时期官窑常用款识格式,可作为判断制作年代的重要依据。综合图案、工艺及款识来看,这件瓷碗推测为当时皇室或贵族所使用的器物。